야생멧돼지 돼지열병 확산... 대책위 '미끼백신' 살포 정부에 요구
야생멧돼지 돼지열병 확산... 대책위 '미끼백신' 살포 정부에 요구
  • 송신욱 기자
  • 승인 2019.09.09 1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북부·강원도 중심으로 돼지열병 확산 중
야생동물 대상 방역에 미끼백신 효과적

 

최근 야생멧돼지에서 CSF 항원·항체 검출이 늘고 있다.
최근 야생멧돼지에서 돼지열병 항원·항체 검출이 늘고 있다.

[데일리원헬스=송신욱 기자] 최근 국내 야생멧돼지에서 돼지열병(CSF)이 검출되는 사례가 늘면서 '미끼백신' 살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돼지 구제역(FMD)·열병박멸대책위원회는 올해 첫 회의를 열고 최근 야생멧돼지에 확산 중인 CSF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끼백신 살포를 정부에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CSF는 과거 '돼지콜레라'로 불렸던 질병으로 고열증상을 동반하며 폐사율과 전염 속도가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 현행 가축전염병 예방법상 백신을 의무적으로 접종해야 하는 제1종 법정가축전염병이다.

야생멧돼지는 최근 경기도 북부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확산 중인 CSF의 주요 감염원으로 지목되고 있다. 야생멧돼지의 경우 사육돼지에 비해 별도 관리가 어렵다보니 질병관리는 물론 개체별 활동 영역 또한 파악이 불분명하다. 이러한 야생동물 대상 방역이 필요할 때는 미끼백신이 효과적일 수 있다.

미끼백신은 동물 전염병 확산 시 살처분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묵이나 닭고기 등 음식 사이에 백신을 넣어 동물 주요 출몰 지역에 뿌려둔다. 유럽연합(EU) 보고서에 따르면 야생멧돼지의 미끼백신 섭취율은 60%에 달한다.

올 3월, 일본에서 CSF가 확산하자 처음으로 야생멧돼지 대상 미끼백신을 도입했다. 한국에서는 광견병 확산으로 너구리를 대상으로 미끼백신을 사용한 적이 있으나 야생멧돼지는 아직 사례가 없다.

미끼백신 비용 부담을 놓고 정부와 한돈자조금협회 등 생산자단체 사이에 이견이 있다. 주무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는 비용의 절반을 협회가 부담하길 원하고 있다.

CSF가 확산돼 세계동물보건기구(OIE)의 규제를 받을 경우 피해가 커질 수 있다. OIE는 주요 돼지전염병에 대해 ▲발생국 ▲백신접종 청정국 ▲백신금지 청정국 등 세 단계로 나눠 관리한다. OIE에 의해 발생국 판정을 받으면 수출길이 막힌다. 한국은 2011년 구제역 발생 이래로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축산업게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경기 북부와 강원지역에서 CSF 항원 검출 건수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인접 지역으로 확산돼 대규모 피해가 현실화 되기 전에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