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으로 개체 이력 등 축사 데이터 한눈에 파악...노동 시간 단축
농식품부, 2027년까지 스마트축산 농가 40% 확대...국내 축산 경쟁력 높일 것
[데일리원헬스=김도연 기자] #1. 경기도에서 약 7천 두의 돼지를 키우는 A씨는 가축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팜스플랜' 덕분에 단, 4명의 인력만으로 농장을 운영한다. 인공지능(AI)이 24시간 돼지를 살피고, 이상 징후를 감지해 돼지 건강 상태를 살피기 때문이다. 인건비를 줄인 것은 물론 돼지 이상 징후를 신속하게 파악해 폐사율 감소로 농가 생산성이 크게 올랐다.
#2. 강원도에서 소 농장을 운영하는 B씨는 사료 잔량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도 집에서 휴대폰 앱으로 사료 보충을 모니터링해 적기에 사료를 주문한다. 사료 잔량이 얼마 남지 않아 보충이 필요하다는 '마이피드' 앱 알림 덕분이다. 마이피드 도입 후 사료 잔량을 제 때에 확인하지 못해 급하게 주문하고 마음 졸이는 일이 없어졌다.
#3. 충북에서 소 농장을 운영하는 C씨는 농장의 모든 한우 개체 정보를 '소톡'으로 관리한다. 농장 운영과 관련한 여러 데이터를 일일이 기록하지 않아도 총사육두수, 출하성적, 개체 이력 등을 카카오톡으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높아졌다. 노동 시간이 단축돼 여유 시간이 늘면서 삶의 질이 향상되고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로 생산성도 올랐다.
스마트축산이 아직 먼 미래의 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스마트축산은 이미 곳곳에 적용돼 축산 현장을 바꾸고 있다. 기술을 바탕으로 1차 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농장 운영 효율화를 이끄는 기업들이 다수 등장하면서 스마트축산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축산테크 스타트업 한국축산데이터는 AI, 데이터, 수의학, 바이오 등이 결합한 가축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팜스플랜'으로 가축 질병을 예방하고 농가 생산성을 높인다. CCTV로 가축을 모니터링하고 데이터를 분석해 가축 상태를 파악한다. 여기에 수의사의 정기 검진 소견 등이 더해져 가축 건강을 종합적으로 진단한다.
AI 기반으로 가축의 체중, 밀집도, 행동 패턴 등을 파악해 가축의 이상 징후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다. 이상 증상 조기 감지로 질병 발생 및 확산을 막는다.
농장주의 경험과 지식을 근간으로 이뤄졌던 기존 축산업에 AI를 도입해 더욱 정확한 데이터에 입각해 농장을 운영할 수 있다. 가축 질병 발생을 막아 폐사율을 최대 67% 줄이고 생산성은 최대 30% 향상시킨다. 가축 건강 관리로 소비자에게는 품질 편차가 적은 건강한 축산물 공급이 가능하다.
에임비랩은 사료 관리 및 생산, 배송 등에 데이터를 적용했다. 사료빈 상단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사료 관리 장비 '피드매니저'와 AI, 빅데이터 기반 축산 사료 관리 플랫폼 '마이피드' 앱을 통해 사료 잔량, 부패도, 예상 소진일 등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사료 관리가 가능하다.
그동안 농가의 사료 주문은 노동력에 의존해 잔량을 사전에 파악하지 못하고 급하게 주문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 사료 회사가 농가를 수시로 방문해 사료 잔량을 확인하는 등 수동적이고 노동집약적으로 이뤄졌다.
에임비랩의 사료 관리 솔루션을 사용하면 사료 잔량을 모니터링해 적기에 사료를 주문하고 배송할 수 있다. 19만 건 이상 축적된 사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료 회사의 배송 횟수를 최대 30% 줄여 불필요한 배송을 최소화하고 사료 공급을 최적화했다.
청년 축산 스타트업 소톡은 카카오톡 기반으로 간편하게 축사를 관리할 수 있는 '소톡' 서비스를 운영한다. 문자메시지로 축사주임을 인증하면 별도의 데이터 입력 없이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를 통해 가축 사육 두수, 출하성적, 자산가치 등 축사 관련 데이터를 조회하고 수정, 거세, 접종 등 개체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우 발정을 탐지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 목걸이와 연계한 알림 서비스, 축산 운영을 위한 다양한 정보도 제공한다.
소톡은 IT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대다수 중장년층의 농장주를 위해 개발됐다. 별도의 앱 설치 및 가입 절차 없이도 농장을 운영하는데 도움 되는 축사 관련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고 농장 및 개체를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축산이 현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정부도 스마트축산 확대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AI 기술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스마트축산 보급 농가 비율을 오는 2027년까지 40%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스마트축산을 활성화해 노동력 부족과 악취, 가축질병 문제 등에 대응해 생산성 및 국내 축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축산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축산을 도입한 국내 축산 농가는 기존 7,265곳에서 오는 2027년 1만 3천여 곳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경노겸 한국축산데이터 대표는 "스마트축산은 농가의 효율적인 운영을 도와 생산성을 항상시키고, 고품질 축산물 생산에도 기여한다"며 "스마트축산 기술 보급 확대되면서 국내 축산업이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도약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라고 밝혔다.